🔸 개발 세계에서의 핸들러
- 프로그래밍 언어 모든곳에서 사용되고 쓰는 환경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다르다
- 일반적으로 큰 의미는, 요청에 의해 호출되는 메소드를 말한다
🔸 node에서의 핸들러
- HTTP request가 날아오면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소드
- 콜백함수로, app.HTTP method(path, 핸들러)
🔸 json 배열의 형태
🔸 json 배열의 함정
- id 값으로 1을 불러왔지만 id 값이 2인 json이 출력되었다
- json array는 배열이기 때문에 각각의 json의 index는 0 부터 시작한다
🔸 find( ) 함수로 해결하기
- JavaScript 배열에서 사용 가능한 find( ) 함수는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객체를 찾아낸다
🔸 res.status( )로 예외처리
- http status code를 ‘성공(200)’ → ‘실패(404 Not Found)’로 바꾼다
- status code를 바꾸는 이유 - 클라이언트와 소통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이다